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갈라디아서 3장 1절에서 9절: 믿음과 율법의 대조

by 매튜묵상 2024. 10. 22.
반응형

바울은 갈라디아 교인들이 율법을 따르려는 잘못된 길로 나아가는 것에 대해 강하게 경고하며, 그들의 신앙 여정에서 처음 시작했던 믿음의 원리를 상기시킵니다. 그는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게 된 것을 강조하며, 아브라함의 예를 들어 율법이 아닌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의를 받는다는 진리를 다시금 확립하려 합니다.

갈라디아서 3:1-9 

 

갈라디아서 3장 1절에서 9절: 믿음과 율법의 대조

 

 

 

 

어리석은 갈라디아인들에 대한 바울의 경고 (3:1–5)

갈라디아서 3장 1절에서 9절: 믿음과 율법의 대조

십자가의 의미를 잊은 갈라디아인들

바울은 “어리석은 갈라디아인들아!”라는 강한 말로 시작하며, 그들이 십자가의 의미를 잊고 율법으로 돌아가려는 것을 꾸짖습니다(갈라디아서 3:1).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우리의 죄를 대속하셨다는 사실이 그들 앞에 분명하게 선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마치 어떤 마법에 걸린 듯 율법의 행위에 의지하려고 했습니다.

성령을 받은 근거는 믿음

바울은 첫 번째 질문을 통해 그들이 어떻게 성령을 받았는지 묻습니다(갈라디아서 3:2). 그들은 율법이 아니라 믿음으로 성령을 받았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성령을 받았고, 이는 그들이 율법을 지킴으로 성령을 받은 것이 아님을 바울은 강조합니다.

성화도 믿음으로 이루어짐

바울은 이어서 성화의 과정도 믿음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합니다(갈라디아서 3:3). 성령의 사역은 믿음의 결과이지, 율법의 행위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고난이 헛되지 않게 하기 위해

바울은 그들이 그리스도를 위해 받은 고난이 헛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시 한번 믿음의 길을 강조합니다(갈라디아서 3:4). 그들이 율법으로 돌아가면, 그들이 이전에 받았던 고난이 아무런 의미도 없게 된다는 경고를 던집니다.

기적도 믿음으로 이루어짐

바울은 그들이 경험한 기적들이 율법이 아닌 믿음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상기시킵니다(갈라디아서 3:5). 그들의 삶 속에서 나타난 초자연적인 하나님의 역사도 모두 믿음을 통해 이루어졌지, 율법의 행위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습니다.

아브라함의 믿음의 예 (3:6–9)

갈라디아서 3장 1절에서 9절: 믿음과 율법의 대조

아브라함의 의로움은 믿음으로

바울은 아브라함의 예를 들어 믿음이 하나님의 의로움을 받는 방법임을 증명합니다(갈라디아서 3:6). 아브라함은 하나님을 믿었고, 하나님께서는 그의 믿음을 의로 여기셨습니다. 아브라함이 의롭게 된 이유는 율법을 지켰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의 약속을 믿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믿음의 자손

바울은 아브라함의 믿음이 오늘날 모든 믿는 자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말합니다(갈라디아서 3:7). 아브라함의 진정한 자손은 그를 혈통으로 잇는 자들이 아니라, 그와 같은 믿음을 가진 자들입니다.

모든 민족이 아브라함을 통해 복을 받음

바울은 창세기 12장 3절을 인용하여, 아브라함을 통해 모든 민족이 복을 받을 것이라는 하나님의 약속이 이방인들에게도 적용된다는 사실을 상기시킵니다(갈라디아서 3:8). 이는 율법이 아닌 믿음을 통해 모든 민족이 구원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믿음으로 의롭게 되는 자들의 복

마지막으로 바울은 아브라함의 믿음과 같은 믿음을 가진 자들은 모두 복을 받는다고 선언합니다(갈라디아서 3:9). 이는 믿음으로 의롭게 된 모든 사람들이 하나님으로부터 복을 받을 것임을 약속하는 말씀입니다.

믿음으로 말미암은 의로움

 

 

 

갈라디아서 3장 1절에서 9절은 믿음과 율법을 대조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은 갈라디아 교인들이 다시 율법의 행위로 돌아가는 것을 경고합니다. 바울은 그들이 처음부터 믿음으로 성령을 받았고, 아브라함 역시 믿음으로 의롭게 되었음을 상기시킵니다. 따라서 그리스도 안에서 믿음으로 구원받은 자들은 끝까지 그 믿음 안에 거해야 하며, 율법의 행위로 의롭다 함을 받을 수 없음을 분명히 합니다.


묵상 포인트

  • 갈라디아인들이 십자가의 복음에서 벗어나 율법으로 돌아가려 했던 이유는 무엇이며, 이는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경고를 주나요?
  • 성령의 사역이 시작된 것이 믿음으로 가능했듯, 우리 삶 속에서도 성령의 역사가 지속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 아브라함의 믿음과 우리의 믿음은 어떤 점에서 동일하며, 어떻게 우리는 그와 같은 믿음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