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예레미야 애가 5장 1절에서 10절: 남은 자들의 회복을 위한 기도

by 매튜묵상 2024. 10. 27.
반응형

예레미야 애가 5장은 예루살렘의 멸망 이후 남은 자들이 하나님께 회복을 간구하는 기도로 시작됩니다. 이 장은 앞서 나온 장들과 달리 애가 형식을 벗어나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는 기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레미야는 남은 자들이 자신들의 고난을 하나님께 아뢰며, 하나님께서 그들의 처지에 관심을 가져주시고 다시 회복시켜 주시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예레미야애가 5:1-10

 

 

 

 

 

하나님께 드리는 회복의 기도

하나님께 기억을 구하는 남은 자들의 기도

예레미야애가 5장 1절은 남은 자들이 하나님께 자신들의 처지를 기억해 달라고 요청하며 시작됩니다. 그들은 바벨론에 의해 겪은 모욕과 고통을 하나님께 알리며, 하나님께서 그들의 상황을 보시고 행동해 주시기를 간구합니다. 이는 단순히 하나님께서 그들의 고통을 보시기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그 고통 속에서 하나님께서 정의롭게 개입해 주시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예레미야애가 5:1

외국의 지배 아래 놓인 유다

유다는 바벨론과 주변 국가들에 의해 지배를 받게 되었습니다. 예루살렘은 그들의 땅을 빼앗겼고, 이방인들이 그들의 땅을 차지하고 통제했습니다(예레미야애가 5:2). 하나님의 약속의 땅이 이방인의 손에 넘어간 것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있어 큰 비극이었으며, 이는 하나님의 심판의 결과였습니다.

고아와 과부처럼 버려진 백성

유다 백성은 바벨론의 지배 아래에서 고아와 과부처럼 보호받지 못하는 신세가 되었습니다(예레미야애가 5:3). 고아와 과부는 이스라엘 사회에서 가장 연약한 계층으로 여겨졌으며, 그들은 법적 보호자 없이 살아야 했습니다. 유다는 마치 아무도 그들의 권리를 지켜줄 자가 없는 상태에 놓인 것처럼 보였습니다.

유다의 고통과 외국 의존의 대가

기본적인 생존조차 위협받는 상황

유다 백성은 이제 물과 나무 같은 기본적인 생필품조차 돈을 주고 사야만 했습니다(예레미야애가 5:4). 그들은 더 이상 자유롭게 자원을 얻을 수 없었고, 계속해서 추적을 당하며 쉴 틈도 없이 고통 속에서 살아갔습니다.

이집트와 아시리아에 의존한 결과

유다는 국가의 생존을 위해 이집트와 아시리아에 의지했으나, 그 결과는 더욱 비참했습니다(예레미야애가 5:6-8). 그들은 외국과의 동맹을 통해 국가의 안정을 얻으려 했지만, 오히려 더 큰 고통과 멸망을 불러왔습니다.

기아와 고통 속에서의 생존

유다 백성은 먹을 것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위험한 여정을 떠나야 했으며, 그들은 식량 부족으로 인해 질병과 고통 속에서 시달렸습니다(예레미야애가 5:9-10).

고통 속에서 회복을 구하는 기도

 

 

 

예레미야애가 5장 1절에서 10절은 남은 자들이 겪고 있는 극심한 고통과 하나님의 구원을 간절히 바라는 기도를 보여줍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죄로 인해 이방인의 지배 아래 놓였으며, 그 결과로 극심한 고난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여전히 하나님께 돌아가기를 원하며, 하나님의 회복을 바라고 있습니다. 이 기도는 하나님께서 그들의 고통을 보시고 다시 그들을 회복시켜 주시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이 기도를 통해, 우리의 죄로 인해 겪는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께 돌아가고, 그분의 회복과 은혜를 간구할 수 있음을 배웁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분의 백성을 결코 잊지 않으시며, 진정한 회개와 기도를 통해 회복의 손길을 베푸실 것입니다.


묵상 포인트

  • 유다 백성이 하나님 대신 외국에 의존한 결과는 무엇이며, 이는 오늘날 우리의 신앙 생활에 어떤 교훈을 줄 수 있습니까?
  •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의 은혜와 회복을 구하는 기도의 중요성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요?
  • 우리의 죄로 인해 겪는 고통 속에서 회개하고 하나님의 회복을 바라보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