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매일성경묵상16

여호수아 23장 1절-16절, 신실하신 하나님과 우리의 믿음 여호수아는 그의 생애 마지막 시기에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께 대한 충성과 순종을 강조하며 중요한 유언과 같은 권면을 남깁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을 위해 신실하게 약속을 이루셨으며, 이제 그들은 그 신실하심을 믿고 하나님의 법을 지켜야 합니다.오늘 본문을 통해 세 가지 중요한 교훈을 배우게 됩니다. 첫째,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기억해야 합니다. 둘째, 하나님을 끝까지 의지하며 순종해야 합니다. 셋째, 하나님과 멀어지면 반드시 경고가 따른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합니다. 성서유니온 매일성경 묵상   여호수아 23장 1절-16절, 신실하신 하나님과 우리의 믿음함께 하는 찬송새 찬송가 546장, 주님 약속하신 말씀 위에서새 찬송가 549장, 내 주여 뜻대로 본론첫째,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기억해야 합니다여호수아.. 2025. 2. 5.
여호수아 22장 21절-34절, 오해를 넘어서 화해로 성서유니온 매일성경 묵상  함께 하는 찬송새 찬송가 216장, 성자의 귀한 몸새 찬송가 220장, 사랑하는 주님 앞에서론신앙 공동체 안에서 오해는 언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러한 오해를 해결하는 방식입니다. 오늘 본문에서는 요단 동편 지파들이 자신들의 믿음을 변호하며, 이스라엘 전체가 화해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공동체는 분열이 아닌 연합입니다. 본문을 통해 우리는 세 가지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첫째, 신앙의 본질을 지키려는 결단, 둘째, 대화를 통한 화해, 셋째, 하나님의 이름 아래 하나됨입니다.본론첫째, 신앙의 본질을 지키려는 결단요단 동편 지파들은 자신들이 만든 제단이 하나님을 배신하는 행위가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밝힙니다. 22절을 보겠습니다.. 2025. 2. 4.
여호수아 22장 10절-20절, 신앙 공동체 안에서의 오해와 화해 성서유니온 매일성경 묵상  함께 하는 찬송새 찬송가 208장, 내 주의 나라와새 찬송가 370장, 주 안에 있는 나에게서론우리의 신앙 생활 속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공동체 안에서의 관계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홀로 살아가도록 부르신 것이 아니라, 신앙의 공동체 안에서 서로를 세우고, 바른 믿음을 유지하도록 하셨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오해와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오늘 본문에서는 요단 동편 지파들이 제단을 쌓은 사건을 둘러싼 이스라엘 공동체의 반응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신앙 공동체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해와 그 해결 방안을 배울 수 있습니다. 본문을 통해 세 가지 중요한 교훈을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오해와 신앙의 위기, 둘째, 갈등을 해결하는 지혜, 셋째, 하나됨을 지키는 믿음입니.. 2025. 2. 3.
[아모스 7:10-17]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자의 담대함 성서유니온 매일성경 묵상 아모스 7:10-17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한 선지자 아모스와 이를 거부한 이스라엘 지도자들의 갈등을 보여줍니다. 아모스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며 담대히 말씀을 전했고, 아마샤와 같은 지도자들은 하나님의 경고를 거부하며 자기 욕심과 교만을 드러냈습니다. 오늘의 매일성경묵상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순종과 우리의 자세를 돌아보세요.1. [아모스 7:10-17] 하나님의 말씀을 거부한 아마샤“땅의 권세자인 아마샤가 이스라엘 왕 여로보암에게 보내어 이르되” (암 7:10)아마샤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한 아모스를 비난하며, 그를 이스라엘에서 쫓아내려 했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뜻보다 자신의 권력과 안위를 더 중요하게 여겼습니다.이 구절은 오늘날 하나님의 말씀을 거부하고 자기 뜻을 우선.. 2024. 12. 7.
[아모스 4:4-13] 회개를 촉구하는 하나님의 경고 아모스 4:4-13은 이스라엘의 죄악과 그로 인한 하나님의 징계를 다룹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경고를 무시하고 여전히 죄악 가운데 머물고 있음을 지적하시며, 그들이 하나님께 돌아오기를 촉구하십니다. 오늘의 매일성경묵상을 통해 하나님의 경고를 깨닫고, 회개와 변화의 길을 선택해 보세요.  성서유니온 매일성경 묵상 1. [아모스 4:4-13] 형식적인 예배의 무가치함“베델에 가서 범죄하며 길갈에 가서 죄를 더하며” (암 4:4)이스라엘 백성은 베델과 길갈에서 예배를 드렸지만, 그들의 예배는 형식적이고 외식적인 것이었습니다. 그들의 마음은 하나님께 있지 않았고, 오히려 죄를 더하는 행위에 불과했습니다.예배는 단순한 행위가 아니라, 마음과 삶의 헌신이 요구됩니다. 이스라엘의 모습은 오늘날 우리의 예배를 돌아보.. 2024. 11. 30.
[아모스 3:9-4:3] 부패한 삶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 아모스 3:9-4:3은 이스라엘의 부패와 죄악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다룹니다. 이스라엘은 풍요와 권력을 누리면서도 하나님의 공의와 정의를 잃어버린 채 불의를 일삼았습니다. 하나님의 심판의 말씀을 통해 우리의 삶을 돌아보고 정의와 공의를 실천해야 함을 배우게 됩니다. 오늘의 매일성경묵상을 통해 이 말씀을 우리의 삶에 적용해 보세요.  성서유니온 매일성경 묵상 1. [아모스 3:9-4:3] 사마리아의 불의“너희는 사마리아의 산들 위에 모여 보라” (암 3:9)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중심인 사마리아에서 행해지는 불의를 모든 민족에게 공개적으로 드러내십니다. 이스라엘은 불의와 탐욕으로 가난한 자들을 억압하며 하나님의 뜻을 배반했습니다.사마리아는 당시 북이스라엘의 부유한 중심지였지만, 그 안에는 정의가 아닌 착취와.. 2024. 11. 30.
반응형